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주식시장의 상하한가 제도와 거래중지 제도(사이드카, 서킷브레이크, 정적 변동성 완화) [같이 공부합시다 - 주린이 투자기초]

by 골드러쉬 개척시대 2022. 1. 4.
반응형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상한가와 하한가 제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거래중지가 일어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그래프

상한가, 하한가

우리나라에서는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개별 주식의 가변동폭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전일 종가(장마감 3시 30분 기준 시간외 제외)를 기준으로 30%이상 오르거나 낼릴 수 없게 하는데, 이것을 상한가 하한가 라고 합니다. 즉 전일 종가가 1000원이라면 700원보다 내려가거나 1300원을 초과해서 올라갈수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이처럼 제한을 두고 있지만 미국 유럽등의 선진국은 가격제한폭이 없으며 자본 시장 발달 정도가 낮은 국가 일수록 가격 제한 폭이 좁습니다. 

거래중지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지나치게 큰폭으로 급등하거나 급락 할때 투자심리를 진정시키고 다수의 투자자들이 관련정보를 공유 할 시간을 주기 위해 매매를 일시적으로 지연 시키거나 정지 시키는 제도입니다. 하나는 사이드카라고 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서킷브레이커 입니다. 

  • 사이드카 -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5% 이상 상승 또는 하락해 1분 이상 지속될 때 발동하며, 일단 발동되면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호가 효력이 5분간 정지됩니다. 5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해제되어 매매체결이 재개됩니다. 주식시장 매매거래 종료 40분 이후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1일 1회 발동합니다.
  • 서킷브레이커 - 주가가 갑자기 급등 또는 급락하는 경우 시장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하여 주식 매매를 일시 정지하는 제도입니다. 3단계로 나누어 발동이되며 8% 15% 20%에 걸쳐 발동이 됩니다. 1단계 종합주가지수가 전일 대비 8%이상 하락하여 1분이상 지속되는 경우로 모든 주식거래를 20분간 중단한 후 10분간 새로 호가를 접수하여 단일가격으로 처리합니다. 2단계 15%이상 하락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이 되고 3단계 20% 상황이 되면 당일 시장이 종료가 됩니다. 

정적 변동성 완화 vi

보통 vi라고 이야기하는 요소이며, 개별종목에 대하여 10이상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경우 2분동안 단일가 매매를 적용해 주가 급변을 완화하는 제도입니다. 2분 단일가 체결 후 정상 거래가 이루어 집니다. 

 

반응형